분류 전체보기
-
-
[컴퓨터과학]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자료실 2022. 1. 16. 22:57
컴퓨터 비전 컴퓨터 비전은 "보고 생각하다"를 컴퓨터에 구현하는 분야이다. 이미지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으로 세상을 "보고" 인공지능이나 딥러닝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컴퓨터 비전은 주로 이미지 분석과 데이터 추출을 다루는 데에 쓰인다. 컴퓨터 비전이란? 1. 컴퓨터 비전의 역사 컴퓨터 비전은 1950~60년경,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에서 파생되었다. 처음에는 제한된 상황에서 시각 정보를 단순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변환하는 것 연구의 전부였지만 점점 실제 세상의 대상을 인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고 싶어했다. 하지만 물체들의 기하학적 특징만으로 현실의 대상을 인지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러던 중 딥러닝이라는 기술이 등장했다. 딥러닝은 그동안 쌓인 방대한 이미지 자료와 결합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정확한 인..
-
[컴퓨터과학] 이미지 처리자료실 2021. 12. 30. 01:05
이미지 처리 이미지 처리란 이미지를 분석하고 원하는 대로 가공하는 법을 다루는 분야로 컴퓨터 비전이나 컴퓨터 그래픽스의 기초적인 단계이다. BMP 이미지 파일 (이 글에서는 비트맵(.bmp)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기준으로 설명) 1. 비압축 형식 BMP파일은 이미지의 정보를 압축하지 않고, 즉 아무런 변경 없이 그대로 저장한다. 2. 컬러 모델 BMP파일은 RGB 색상 모델을 사용한다. R은 0~255의 빨간색을, G는 0~255의 초록색을, B는 0~255의 파란색(약 1600만 가지의 색을 표현) 3. 구조 - 헤더: BMP 형식에 대한 정보(이미지 파일의 용량 등)가 저장되는 파일 헤더와 이미지 자체의 정보(이미지 크기 등)가 저장되는 인포 헤더로 구성된다. -바디: RGB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 ..
-
[물리] 탄성력자료실 2021. 12. 9. 22:23
탄성력 탄성력이란 물체가 외부의 힘에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대로 돌아갈 때 발생하는 힘이다. 예를 들어 용수철을 압축했다가 놓으면 튀어 오르는 것, 고물줄을 당겼다가 놓으면 튕겨지는 것이 있다. 특히 물체의 탄성은 신소재를 개발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성질 중 하나로 탄성이 크면 부품이나 기계를 만들 때 외부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진다. 탄성력의 특징 1. 탄성력의 근원 탄성력은 응력 때문에 생긴다. 응력이란 물체 내부에서 고체나 액체를 이루게 하는 인력이다. 물체는 원래 응력으로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만약 외부에서 응력보다 큰 힘을 주어 변형시킨 뒤 그 힘을 없애면 다시 응력에 의해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2. 탄성계수 모든 물체는 응력이 있기 때문에 탄성을 가진다. 그러나..
-
[물리] 빛과 빛의 활용자료실 2021. 11. 16. 15:37
빛과 빛의 활용 빛은 불이나 태양 같은 광원에서 나타나며 인간이 물체를 볼 수 있게 해준다. 빛의 종류 적외선은 파장의 길이가 700nm~1,000nm 해당하는 빛으로 가시광선의 적색 영역 바깥에 있어서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빛 중에서 가장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 그 에너지는 주로 열을 전달한다. 모든 물체(얼음과 같이 차가운 물체도)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가시광선은 형광등, LED와 같은 곳에서 방출되며 400nm~700nm의 파장의 길이를 가진 빛이다.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무지개 색깔이 가시광선에 해당한다. 특히 빨강, 초록, 파랑을 적절히 합성하면 최소한의 색으로 모든 색깔을 표현할 수 있다. 자외선은 파장이 10nm~400nm인 빛이어서 우리 눈으로 볼 수 없고 에너지가 매우 큰 편이다..
-
[법] 헌법자료실 2021. 10. 27. 23:12
헌법 18~19세기 헌법에 따라 통치한다는 입헌주의의 등장으로 근대적 의미의 헌법이 등장했다. 초기에는 자유와 재산권 관련 내용이 주를 이뤘고 20세기부터 사회권과 인간다운 삶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헌법은 보통 다른 법의 기준이 되는 최상위 법에 자리한다. 대한민국의 헌법은 국가 주권과 정치 체제, 국가 조직의 권력 범위를 정하고 자유와 기본권을 보호한다.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 원리 헌법에 내재하여 있는 국가의 근본 이념으로서 모든 법률 제정 및 해석의 기준이다. 1. 국민주권주의 주권은 주인 된 권리라는 뜻으로 국가 최고의 의사 결정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정한다. 2. 자유민주주의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의사 결정이 될 때는 다수의 동의와 지지가 필요하다. 3. 복지국가의 원리 자본주의 경제..
-
[이미지 출처 모음]자료실 2021. 9. 29. 22:29
더보기 no cc는 아무런 저작권 제약없이 복사, 변형, 배포 및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이미지입니다. #광학 1. 전구 pixabay.com 2. 전자기파의 종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2Frequency_vs._wave_length.svg1920px-Frequency_vs._wave_length.svg.png 3. 프리즘 pixabay.com 4. 이중슬릿실험 https://www.shutterstock.com/ko/image-vector/diagram-doubleslit-experiment-1617760465?irclickid=1zdQ5pxPDxyIWE2wQIVNPydYUkBVwtRSA1l7X00&irgwc=1&utm_medium=Affi..
-
[수학] 수학을 이용한 암호(RSA&동형암호)자료실 2021. 8. 20. 13:54
수의 성질을 이용한 암호(RSA&동형암호) 정보를 보호하는 암호는 숫자와 밀접한 관계로 수의 성질을 이용한 경우가 많다. 오늘날 금융이나 빅데이터 같은 분야에서 쓰이는 암호도 마찬가지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RSA와 동형암호가 있다. RSA vs 동형암호 RSA는 큰 숫자일수록 소인수 분해하기 어렵다는 점을 적용한 암호 기술이다. RSA 덕분에 전자상거래의 기술적, 보안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런데 1993년 피터 쇼어가 양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매우 큰 숫자를 일정 시간 안에 소인수 분해하는 방법을 발표하였다. 양자컴퓨터가 발명되면 안정성이 무너진다는 우려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이 동형암호이다. 동형암호는 수학적 난제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암호 기술로 양자컴퓨터가 뚫을 수 없다. 또한 ..
-
Mark Peterson_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Peaceful자료실 2021. 7. 8. 00:07
Introduction This writing is a summary of Professor Mark Peterson's YouTube lecture. He presents a new perspective as foreigners, not Koreans. He provides a broad and relative historical perspective by comparing it with other countries. #1. The Longest Dynasties Korea has a longer dynasty than other countries. In the ancient kingdoms, the dynasties of Baekje, Goguryeo, and Silla were over 600 ye..
-
[문학] 고전시가 문제 모음자료실 2021. 6. 21. 12:24
고전시가 문제 모음 총 30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문제 수는 108개이고 4문제가 한 세트로 총 27세트입니다. 수록된 작품: 1. 가시리 _ 작자 미상 2. 만흥 _ 윤선도 3. 선상탄 _ 박인로 4. 속미인곡 _ 정철 5. 어부사시사 _ 윤선도 6. 한거십팔곡 _ 권호문 7. 율리유곡 _ 김광욱 8. 공무도하가 _ 백수광부의 처 9. 구지가 _ 구간(九干) 등 10. 처용가 _ 처용 11. 황조가 _ 유리왕 12. 제망매가 _ 월명사 13. 찬기파랑가 _ 충담사 14. 제가야산독서당 _ 최치원 15. 동동 _ 작자미상 16. 서경별곡 _ 작자미상 17. 한림별곡 _ 한림제유 18. 이런들 어떠하며 _ 이방원 & 이 몸이 죽고 죽어 _ 정몽주 19. 송인 _ 정지상 20. 용비어천가 _ 정인지..
-
[컴퓨터과학] DNA컴퓨팅자료실 2021. 3. 20. 00:05
DNA 컴퓨팅 DNA 컴퓨팅은 분자 정보 처리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IT 기술이다. DNA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기존보다 뛰어난 성능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역사 1970년대 후반 세포에서 반응 원리와 생체대사 반응을 활용하려 했으나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후 1994년 Adleman이 DNA를 사용하여 해밀턴 경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며 연구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장비와 지원 부족의 문제로 느리게 발전해오다가 최근 바이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중이다. 특징 기본적으로 DNA 분자의 합성과 화학적 특성을 이용해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DNA 1그램에는 약 10^21개의 염기를 가지고 10억 테라의 용량을 가진다. 이처럼 작은 양일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