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문학] 인형극
    자료실 2023. 4. 4. 09:28
    반응형

    인형극

     인형극은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인형극은 인형에 인간을 대입하면서도 적당한 거리감을 두는 연극의 표현 수단이며 예술의 한 장르로 인정받고 있다.


     

    • 인형극의 기원
       인형극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지만 크게 두 가지의 가설이 있다.
      1. 기원전에 인도 북부의 집시가 인형을 만들어 연극을 했고 그것이 아시아와 유럽 등지에 퍼졌다.
      2. 인도와 중국에서 각각 인형극이 발생하여 인도 인형극은 서쪽으로 중국 인형극은 극동 지역으로 퍼졌다. 




    • 인형극의 구성
    인형극 공연의 구성 설명
    인형
    인형은 대개 나무나 대나무, 종이, 천 등으로 만들어지며, 극의 등장인물이다.
    무대
    인형극 무대는 인형이 등장하는 공간으로 인형극의 분위기와 설정을 나타낸다. 
    배경과 소품, 악단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악단은 무대 안에 있어서 곡을 연주하며 종종 주술적인 성격을 가진다.
    조종
    인형 조종은 인형이 움직이는 기술과 방법을 의미한다. 
    인형 조종사(배우)는 인형을 통제하고, 인형의 동작과 표현을 연출한다. 
    인형 조종사는 인형의 조작 능력과 예술적 감각이 모두 요구되며, 
    인형극의 퀄리티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세계의 인형극
       세계의 인형극은 국가, 문화, 역사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했다. 초기에는 떠돌이 예술가의 형태로 시작하여 20세기 즈음에 연극으로 정착했다.

    국가 배경 종류
    인도 인도의 인형극은 인형극의 기원으로 가장 유력하다.
    신화적 발생을 언어, 몸짓, 분장, 감정으로 체계화시켜 종종 종교적인 성격을 띠기도 했다.
    라자스탄, 오릿사
    약사가나
    중국 중국의 인형극도 인형극의 기원으로 지목되며 긴 역사가 있다.
    지역 공동체의 관습, 문화, 전설을 전달하며 지식을 전파한다.
    전문 공연인 보다 농사를 쉬는 겨울에 공연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사괴뢰, 주선괴뢰
    육괴뢰, 수괴뢰
    서양 서양은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시대의 인형극이 기록으로 전해진다.
    그 후 리차하르트 테슈너 등이 20세기에
    인형 극장(피구렌슈키겔 등)을 짓고 체계화시켰다.
    특히 인간의 존재처럼 심오한 가치를 다루기도 한다.
    줄인형극, 장갑인형극
    베트남 베트남의 수상인형극은 11세기 홍 강 유역에서 
    농민들이 악귀를 막고 수확의 기쁨을 나누기 위해 시작되었다. 
    최초의 형식은 로이 누억이라는 인형과 함께 
    논 위에 인형 조종사를 숨기기 위한 탑을 세운 것이었다.
    이후 조명과 깃발이 추가되어 축제 분위기를 만들었다. 
    무대의 물은 인형 조종을 숨겨주며 
    음악과 조명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베트남식 오페라 가수는 공연에서 
    인형 대신 노래를 부르면서 연극 안팎으로 참여한다.
    수상인형극
    인도네시아 와양은 인도네시아의 서사 구전 스타일의 전통 인형극이다. 
    최초에 자바섬에서 유래하였으며 여러 섬으로 퍼져나가면서 
    정교한 인형과 다양한 음악이 발달했다.
    달랑이라는 인형 조종자는 와양 골렉(golek, 삼차원 목제 인형)과 
    와양 쿨릿(kulit, 평면의 그림자 인형)을 조종한다.
    이 외에도 노래를 부르는 가창자,
    청동제 악기와 가믈란 북을 연주하는 악기 연주자가 있다.
    이들은 당시의 사회상을 풍자하는 지식인으로 여겨졌다.
    와양 인형극
    (그림자인형극)

     

    • 한국의 인형극

     한국 인형극은 왕조의 구분 없이 제사적 인형극에서 오락적 인형극으로, 그리고 극적 인형극으로 자체적인 생명력을 유지하며 전승되었다. 이때 오락적 인형극은 춤과 일정한 움직임이 강조되었고 극적 인형극은 연극의 조종과 발화, 연출이 가미되었다. 한편, 한국 인형극의 기원에 대해 여러 입장이 있다. 외래 기원설은 인도에서 서역과 중국을 거쳐 전해 내려왔고, 다시 일본으로 전해졌다는 주장이며, 자생설은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 이전의 목우인형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발전해 왔다는 주장이다. 최근에는 이 두 입장을 절충한 절충설이 제안되었는데, 자생적 기반에 외래적 요소의 영향이 결합하여 수 세기 동안 독자적인 변화와 발전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 역사에서 인형 배우가 독립적으로 극을 끌어나가는 인형극은 적다. 꼭두각시놀음, 만석중놀이, 발탈 등을 인형극으로 간주하지만, 이들은 인간 배우의 비중이 크거나 인형들의 그림자를 통해 평면적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인형극과 다르다. 한국의 인형극은 꼭두각시놀음 계통의 남사당패 꼭두각시놀음, 서산 박첨지놀이, 장연 꼭두각시극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한국 인형극에는 여러 계통의 인형극이 있다고 추측한다. 강이천(1768~1801)의 남성관희자에 나타난 인형극에는 오락적 문맥에서는 유사하지만 현전하는 꼭두각시놀음과 다른 부분이 있다. 보다 다양한 인형 조종방식, 인형 제작, 인형극의 내용면에서 그러하다.

    - 꼭두각시놀음

     마을 주민들 가운데 선발된 배우들이 연기하는 토박이 광대패 인형극과 전문배우인 떠돌이 광대패가 연기하는 인형극으로 나뉜다.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음은 전문 배우인 떠돌이 광대패의 인형극이고 서산 박첨지놀이와 장연 꼭두각시극은 마을 주민 출신 배우들이 전승하는 토박이 광대패 인형이다. 떠돌이 광대패와 토박이 광대패는 서로 유기적인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서산 박첨지놀이와 장연 꼭두각시극 둘 다 남사당패 꼭두각시놀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지만,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교적 관념의 허구성 비판, 남성의 횡포 비판, 계급적 특권의 비판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진다.



    • 인형극의 의의

    인형극에서 인형은 스스로 말도 못 하고 움직이지도 못한다. 인간 연기자의 조종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표현력이 부족할 수 있다. 하지만 인형극은 오랜 역사와 미래를 가지고 있디. 인형극은 인형, 무대, 음악, 조종 등,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간의 상상력을 있는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인형은 현실적인 인물 연기와는 달리 독특하고 추상적인 형태로 연출되어 보는 이에게 독특한 감성과 느낌을 전달한다. 인형극은 과거에도 그랬듯 앞으로도 우리가 상상의 나래를 펼칠 곳이 될 수 있다.
     또한 똑같은 시간, 장소에 모여 비슷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평등의 가치를 지니는 예술이며 과거에는 세간의 소식을 여러 계층에게 전달하는 소통 창구였다. 특히, 종교에서 인간을 창조한 인터넷에서 부캐를 생성하는 현대인인형을 조종하고 감정을 투영하는 배우는 자신의 감정과 정체성을 다른 대상에 투영한다는 관점에서 같은 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인형극의 큰 잠재력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
wordok38@gmail.com